공략/응용 에너지학 (Applied Energistics 2)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10. 버스 모드 버전 정보 응용 에너지학 2: rv6-stable-7 버전 이번 강좌에서 다룰 것은 버스입니다. 사전 준비 기본적인 아이템 보관, 채널 등에 대한 지식 주의점 이 강좌에선 아직 다룬 적이 없는 액체 저장과 관련된 내용이 나옵니다. 이에 대해선 11강에서 다룰 예정이니, 잘 이해가 안 가시는 내용은 11강을 참조해 주세요. 버스란 ME 케이블에 설치해서 케이블 사이의 연결이나, 케이블과 외부 기계 사이의 연결을 관리하는 부품을 말합니다. 총 10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저장된 아이템이나 액체의 양에 따라 레드스톤 신호를 방출하는 방출기입니다. 버스는 아니긴 한데 일단 버스로 분류했습니다. 얘도 케이블에 설치하는 방식이라 여기다 분류해도 될 듯 해서요. 방출기는 이렇게 케이블에 설치하시면 됩니다. ME .. 9. 자동 조합 모드 버전 정보 응용 에너지학 2: rv6-stable-7 버전 오늘은 응용 에너지학 모드의 핵심, 자동 조합에 대해서 다뤄 볼 차례입니다. 분량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잘 따라와 주세요. 사전 준비 ME 상자, ME 드라이브 등 AE2의 저장 장치 넉넉한 채널, 전기, 쿼츠 등의 재료와 케이블 9-1. ME 인터페이스(ME Interface) 자동 조합에서 아이템을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 블럭입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한 가지 기능이 있어서 따로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ME 인터페이스의 GUI입니다. 자동 조합과 별개로, 인터페이스는 아이템 자동 지급기의 역할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터미널에 이렇게 빵, 조약돌, 횃불이 있다고 합시다. 물론 다른 아이템도 있을 수 있죠. 광질을 할 때, 간편.. 8. 결정 성장 가속기 모드 버전 정보 응용 에너지학 2: rv6-stable-7 버전 1강 마지막에서 잠시 순수한 석영을 만드는 법을 알아봤었죠. 석영 씨앗을 만들어서 물에 담궈두면 되는데, 이대로 하면 최소 몇시간은 걸립니다. 이 귀찮은 작업, 더 빨리 할 수는 없을까요? 8-1. 결정 성장 가속기(Crystal Growth Accelerator) 결정 성장 가속기(Crystal Growth Accelerator)를 소개합니다. 이 챔버가 주위에 있으면, 씨앗의 성장 속도가 눈에 띄게 증가합니다. 갯수가 많을수록 빨라지는데, 다음 표를 참고해 주세요. 챔버 갯수 시간 0 수 시간 1 12.5분 2 5.5분 3 3.2분 4 2분 5 1.4분 6 1분 미만 필요한 시간이 엄청나게 줄어드는 게 보이시죠? 8-2. 사용법 위에서 .. 7. ME 컨트롤러 모드 버전 정보 응용 에너지학 2: rv6-stable-7 버전 저번 강좌에선 채널이 무엇인가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그리고 나온 결론은 안타깝게도 1. 한 케이블은 8채널까지만 지원한다 2. 두꺼운 케이블도 어째선지 8채널까지만 지원한다 였습니다. 그렇다면 저희는 한 네트워크당 8개의 기계만 설치할 수 있는 걸까요? 이 문제를 해결할 ME 컨트롤러를 알아봅시다. 사전 준비 8채널로 감당이 안되는 자신(...) 7-1. ME 컨트롤러(ME Controller) 조합법입니다. 플루익스 쿼츠는 반드시 순수한 형태여야 합니다. 슬슬 순수한 쿼츠를 많이 쓸 때가 된 것 같으니, 다음 강좌는 크리스탈 키우기로 해야겠군요. 7-2. 기능 ME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전기를 주면 이렇게 반짝반짝 빛이 납니다. ME 컨트.. 6. 채널 모드 버전 정보 응용 에너지학 2: rv6-stable-7 버전 오늘 다룰 내용은 채널이란 개념입니다. AE2 모드의 진입장벽을 미친듯이 높이는 주범으로, 처음 접할땐 무척 짜증나지만 개인적으로는 익숙해진 뒤로는 어떻게 채널도 관리하고 시설도 멋지게 지을지 고민하는 맛이 있더군요. 아무튼, 강좌 시작합니다. 6-1. 채널의 정의 채널이란, 쉽게 말해 하나의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의 갯수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여러 기계나 패널이 하나의 케이블 라인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저 모든 기계들은 해당 라인의 채널을 소비합니다. 따라서 이 라인의 채널은 현재 8개를 사용중인 셈이죠. (가장 왼쪽의 검은 블럭은 에너지원으로 기계로 취급되지 않고, 채널도 소모하지 않습니다.) 이 상태에서 오른쪽에 ME 드라.. 5. ME 드라이브 모드 버전 정보 응용 에너지학 2: rv6-stable-7 버전 저번 3강에선 AE2의 가장 기본적인 저장소, ME 상자를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ME 상자는 하나의 스토리지 셀만 들어가기 때문에 63종류의 아이템밖에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죠. 초반엔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드라이브가 꽉 찰 때마다 ME 상자를 계속 늘리는 건 좀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 이번 강좌에서 소개해드릴 ME 드라이브(ME Drive)는 무려 10개의 스토리지 셀을 한 번에 넣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전 준비 기본 재료들, 케이블과 전력 5-1. 기본적인 사용법 ME 드라이브의 조합법입니다. 다이아몬드 2개가 가장 부담스럽지만, 투자할 가치가 있는 성능을 자랑합니다. 그리고 ME 터미널을 한 종류 만드셔야 하는데, 평범한 .. 4. 스토리지 셀 용량 계산 모드 버전 정보 응용 에너지학 2: rv6-stable-7 버전 이번 시간엔 스토리지 셀의 용량을 계산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현실에선 그냥 비싼 스토리지 셀을 많이 넣으면 되는 일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한 번 짚고 넘어가 봅시다. 그러므로 이 강좌는 건너뛰셔도 좋습니다. 스토리지 셀은 1k, 4k, 16k, 64k 4가지 용량이 있었죠. 각각의 용량은 바이트를 의미합니다. 즉, 1k 스토리지는 대략 1000바이트의 아이템을, 16k 스토리지는 대략 16000바이트의 아이템을 저장합니다. 이진법으로 계산해야 해서 정확한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k 1024바이트 4k 4096바이트 16k 16384바이트 64k 65536바이트 여기서 바이트는 다시 비트라는 작은 단위로 쪼갤 수 있는데, 1.. 3. ME 상자 모드 버전 정보 응용 에너지학 2: rv6-stable-7 버전 이번 시간엔 응용 에너지학 2의 저장소 중 가장 기본적인 ME 상자(ME Chest)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동시에 응용 에너지학 2의 스토리지의 개념도 알아보도록 합시다. 사전 준비 1강까지 다룬 기본 준비들(맷돌, 플루익스 쿼츠, 프로세서 등) 3-1. ME 상자(ME Chest) ME 상자(ME Chest)의 조합법입니다. 상자도 중요하지만, 위의 ME 터미널(ME Terminal)은 나중에도 자주 나올테니 잘 봐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상자를 설치했습니다. 이제 상자를 열어볼까요? 라는 생각으로 정면(옆면도 됩니다)을 우클릭해보니 이런 한칸짜리 GUI만 표시됩니다. 윗면을 우클릭하면 아까와는 달리 텍스트 문구가 표시됩니다. 스토리지 셀.. 이전 1 2 다음